요즘 최고수행을 위하여 선수들을 도울 수 있는 여러 가지 심리적 전략들이 밝혀지고 있다. 목표설정은 이러한 전략 중의 하나로서 선수들의 연령과 기능수준에 관계없이 경기수행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동기, 자신감, 불안 등과 같은 중요한 심리적 상태의 긍정적인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1. 목표의 개념
목표란 목적이나 의도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 용어로서 두 가지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다. 첫째, 목표란 장차 얻고자 해서 바라고 있는 상태, 즉 개인이나 조직이 장래의 어떤 시점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상태이다. 둘째, 목표는 과거나 현재의 의사결정과 행동개입의 결과로 얻어지는 것으로서 현재나 미래의 행동에 가해지는 여러 가지 제약이라고 볼 수 있다.
목표란 일반적으로 '특정한 시간 내에 과제에 대한 정해진 효율성의 기준을 성취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에 의하면 목표란 과제의 어떤 기준을 성취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예를 들면 '400m 기록을 1초 단축시킨다'거나 '타율을 10%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목표에 대한 이러한 정의는 수행기준을 정해진 기간 내에 달성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시즌이 끝날 때까지' 혹은 '연습 후에' 등과 같은 것이다.
스포츠심리학자들은 목표의 유형을 세부적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McClements(1982)는 목표를 주관적인 목표와 일반적인 목표 그리고 구체적인 목표로 구분하였다. 또한 Martens(1987)와 Burton(1983, 1984)은 결과목표와 수행목표로 구분하였다. 선수와 코치들이 경기에서 승리하기 위해 경기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설정한 목표는 결과목표이며, 수행목표는 선수들의 구체적인 행동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정한 것이다. 목표에 대한 이러한 세부적인 구분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선수들이 행동변화를 추구할 때 수행목표와 세부적인 목표가 효율적이라는 증거들이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목적과 목표의 차이를 구별하는 것도 중요하다. 목적은 어떤 것이 계속적으로 발전되거나 극대화되는 것으로 연속적인 차원이다. 목표는 목적적인 연속체 위에서의 과정으로 과제의 달성 여부와 관계없이 성취를 위한 특정한 행동이다. 선수들에게 있어서 목적의 하나는 자신들의 운동학적인 능력을 최대한 발달시키는 것이다. '보다 빨리, 보다 높이, 보다 힘차게'라는 올림픽 신조는 하나의 목적이다. 반면에 100미터 달리기에서 9.8초로 달리거나, 역도에서 200kg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높이뛰기에서 2m 30cm를 뛰어 오른다는 것은 목표이다. 목표란 구체적이며 특수한 것이다. 반면에 목적은 목표에 비하여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구체적인 상황적 요소를 고려할 수 없다. 이러한 목표와 목적의 차이는 단순히 어의상의 차이만이 아니며, 정확하게 목표설정 법칙에 적용하는데 중요하다.
목표는 두 가지 중요한 특성을 갖고 있다. 우선 목표는 방향을 가지고 있다. 선수들은 어떤 것을 향해 그들의 목표를 설정한다. 또한 목표는 약간의 강력함을 갖고 있다. 목표는 선수들의 생활에 중요할 수도 있으며, 단지 약간의 중요성만을 가질 수도 있다.
2. 목표설정의 이점
심리학자들은 목표설정을 동기적 기법으로 연구해 왔다. Locke(1968)에 의하면 목표는 동기의 기초가 되고, 행동이 지표로서 인간 활동을 직접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고 가정한다. 즉, 설정된 목표는 관심이나 행동의 지표를 제공하며, 노력을 동원하게 하고 계속 노력하게 하며, 목표달성을 위한 적절한 책략을 개발하도록 개인을 동기화 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목표설정의 기능은 행동의 방향을 결정해 주고, 개인의 실적을 평가하는 표준을 제공해주며, 여러 호라동과 목표 추구에 필요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정당화해줌으로써 합법성의 근거를 제공해 준다. 그리고 목표를 연구함으로써 다른 방법으로는 알아낼 수 없었던 조직 구성원이나 조직의 감추어진 동기, 성격 및 행동 등에 통찰력을 얻을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조직구성원의 행동이나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
심리학자들은 주로 세부적이고 어려운 목표가 없거나 단순히 최선을 다한다는 목표보다 수행을 증진시키는지를 연구해 왔다. 90%가 넘는 목표설정에 관한 연구들은 목표설정이 행동에 일관성 있고 강력한 효과를 미친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목표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두 가지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하나는 목표가 직접적으로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와 다른 하나는 목표가 사고과정에 영향을 미쳐 간접적으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이다. 목표가 행동에 직접적을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은 다음과 같은 4가지 방법 중의 하나로 목표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 목표는 기술이 수행되는 동안 주용한 요소에 주의를 집중하게 한다.
- 목표는 선수를 노력하게 한다.
- 목표는 선수의 인내심을 지속시킨다.
- 목표는 선수가 새로운 학습전략을 개발하도록 촉진시킨다.
간접적으로 사고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은 목표가 자신감 수준, 불안, 만족감 등을 포함하는 선수의 심리상태에 영향을 미쳐 결국 수행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이다. Martens(1987)는 잘 계획된 목표설정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방법에 의해 운동수행을 발전시킨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목표는 ① 직접적으로 연습을 필요로 하는 과제에 대한 수들의 주의와 행동을 지시하며 ② 선수들의 정력과 노력을 가동시키고 ③ 운동수행의 진보가 고통스러울 정도로 느낄 때 선수들의 참을성을 증가시키고 ④ 선수나 코치들이 가장 적절한 전략을 추구하는데 있어 동기를 부여한다.
Burton(1983)은 목표설정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결과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는데 있어 뛰어난 수영선수들은 ① 경기에 있어 불만이 적고 ② 잘 집중하며 ③ 잘 수행하며 ④ 자신의 운동참여에 만족도가 높다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스포츠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표설정의 원리2 (0) | 2022.01.14 |
---|---|
목표설정의 원리1 (0) | 2022.01.12 |
동기유발의 방법 (0) | 2022.01.09 |
사회인지적 접근과 동기유발의 최적수준 (0) | 2022.01.09 |
귀인이론과 운동수행과의 관계2 (0) | 2022.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