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심리학

운동집단의 개념, 분석단위로서 개인 대 집단

by 간다잉 2022. 7. 14.

1. 운동집단의 개념

 대부분의 운동은 집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운동집단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일반적인 집단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집단이란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하는 개인들의 집합체이며, 집합체가 각 구성원에게 혜택을 부여할 때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보통 집단이라고 하면 소집단을 말하는데, 이 소집단에서는 구성원들이 얼굴을 맞대고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이 큰 집단인 조직이라는 단체와 다른 것이다. 집단이라는 사회심리적인 구성개념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른데, 이러한 다양성은 연구자의 관심이나 특수한 관심 영역의 차이를 반영 하는 것이다. Homans(1951)는 [Human Group]이라는 저서에서 집단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집단은 종종 시간의 장내에서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하는 일련의 사람들의 집합체이며, 각 개인이 모든 성원들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는 없으나 다른 사람들과 간접적이 아닌 직접 얼굴을 맞대고 의사소통하는 모임이다..> 계속해서 그는 이 정의를 정교하게 발전시켰는데, <집단이란 집단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으로 정의할 수 있다>고 하였다. 만약 개인 A, C, D, E와 더욱 빈번한 상호작용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한 집단이 양적으로 다른 집단과 차이 있는 것을 알아내려면 상호작용하는 횟수를 관찰하는 것만으로 가능하다고 하였다.

 유사한 관점을 갖는 Merton(1957)과 Schein(1965)은 집단을 정의하기 위해서 세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Merton은 <상호작용의 빈도>, <자신들이 구성원으로서 정의한 사람들의 상호작용>, <집단의 소속으로 타인들에 의해 정의된 사람들의 상호작용> 등의 3가지를 객관적인 집단의 기준으로 보았고, Schein은 조직 내에서 집단의 심리적 특성에 특별한 관심을 두었다. 그는 심리적 집단이란 1)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고 2) 타인을 심리적으로 인지하며 3) 그들 스스로가 하나의 집단이라고 지각하는 일련의 사람들의 집합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집단의 크기는 상호작용과 상호인식의 가능성에 의해 제한받는다. 단순한 사람들의 모임(예를 들어, 거리에서 어떤 사건을 구경하고 있는 군중)은 이 정의에 맞지 않는데, 그 이유는 그들 스스로가 상호작용하지 않으며 서로 집단이라고 지각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스포츠 , 신체활동과 관련하여 집단을 정의한 Newcomb(1951)는 집단 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규범적 특성을 강조하면서 집단의 뚜렷한 특성은 집단 구성원들이 어떤 것에 대한 규범을 공유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 집단 구성원들간의 상호 의존성을 강조한 Lewin(1948)은 집단이란 유사성보다는 상호 의존성에 입각한 동적인 총체로서 정의되어야 한다고 했으며, Cartwright와 Zander(1968)는 집단이란 어느 정도 의미 있게 상호 의존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 개인들의 집합이라고 제의하였다. 다시 말하면, 집단은 구성원들 간의 상호 의존적인 공통성을 갖는 사회적 실재의 일종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정의에 비추어 보면 집단이란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ㄱ위해 의사소통의 규범적 특성을 갖고 상호 의존적으로 활동을 조정하는 살마들의 집합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집단은 분류 기준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크기에 따라서 대집단과 소집단으로, 집단의 형성 목적에 따라서 공식집단과 비공식집단으로 나누는데 어떤 학자들은 전자를 과제집단, 후자를 정서집단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여기서 운동집단은 위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집단의 정의와 분류방식에 따라서 정의할 수 있다. 단순하게 표현하자면, 운동집단이란 운동을 하기 위한 사람들의 집합체라 할 수 있다. 보다 정의적으로 기술하면, 모인 사람들간에 운동을 하고자 하는 공동 목표와 그것의 규범 그리고 우리들의 집단이라는 의식이 있고 그런 사람들 사이에 어느 정도 안정된 상호작용이 계속되는 사회적 단위 또는 실재를 의미한다. 부연 설명하면, 운동집단이란 운동을 한다는 목표지향에의 공통점이 있고, 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조화로운 팀웤과 규범을 공유하며 집단과 일심체가 되는 사회적 단위가 계속되기 위해서 어느 정도 안정된 상호작용을 가지는 인간의 모임을 가리킨다.

분류의 방법에 따르면, 운동집단은 소집단에 속하여 공식집단 또는 과제집단이라 말할 수 있는데 이는 운동이라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공식 집단이기 때문에 정해진 목표가 없이 모여 상호간에 긴밀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군집과 구별된다.

 

2. 분석단위로서 개인 대 집단

집단의 특성과 연관된 오랜 문제 중의 하나는 분석 단위로서 집단의 실재에 대한 이해관계이다. 즉, 집단은 두 개의 상이한 일반적 관점으로부터 개념적으로 고찰할 수 있다. 첫째, 집단은 그것을 구성하는 개인들과 뚜렷한 구분이 되는 실재나 단위로 보는 관점으로 이 관점은 집단으로 유도된 각 구성원들의 개인적 욕망, 포부, 동기, 능력 등이 총 집단 구성력과 그것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집단의 요구, 포부, 동기, 능력들은 개별 특성들의 단순한 종합과정을 거쳐 달성될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한다. 집단은 집단 본연의 권리로서 존재하며 총체로서 분석되어야 한다. 둘째 관점은 집단을 그것의 집합적 구성원들의 부가적 산물로 고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집단 내의 개별 구성원들이 공격적이거나 우호적이라는 등의 특성을 갖는다면 집합적인 실재는 이러한 국면을 반영하게 된다는 관점이다. 여기서 집단은 집단 구성원들의 힘으로 고려됨으로써 개별 구성원들은 분석을 위한 중요한 단위가 된다. Cattell(1948, 1953)은 두 관점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보다는 자신이 패널이라 명명한 다양한 수준에 입각하여 집단을 묘사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 패널은 개체성과 구조성 그리고 통합성으로서 개체성 수준에서 집단을 묘사하는 것은 개별적인 집단 구성원들의 심리적 특성, 즉 성격, 욕구, 동기, 속성 등에 초점을 두는 것이며, 구조적 수준에서의 집단의 분석은 집단 내의 상호작용 유형을 고찰하는 것이다. 통합성은 집단이 어떠한 성격의 개인들로 구성되었는지를 정확하게 정의하는 것으로, 자극상황이 정의되었을 때 집단의 반응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개체성은 집단 상황 내의 개인들에 관심을 가지며 구조성은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두고 통합성은 총체로서의 집단에 관심을 갖는다. 최소한 개념적 견지에서 이러한 세 개의 패널을 활용하여 집단역동을 연구한 결과를 보면, 총체성으로서 집단을 강조하는 관점이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