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심리학

스포츠집단규범

by 간다잉 2022. 7. 17.

 김명수(1992)는 운동부 집단 규범 측정척도를 개발하고 일련의 연구를 실시해 왔다. 그는 학교 운동부 집단은 반드시 성원들 간의 학년으로 인한 상하관계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독특한 규범을 형성하고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운동부의 집단 규범은 상급생과 하급 생간의 인사 등에 관한 태도 규범, 팀의 성적을 높이기 위해 집단 성원 간의 공유된 행동에 관한 업적 규범, 결석이나 청소 등의 행동과 관련하는 생활규범, 상급생과 하급생간의 서열을 나타내는 상하서열규범, 상급생에 대한 하급생의 봉사 행동에 관한 봉사 규범 등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밝혀내고, 이들을 수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34 항목의 운동부 집단 규범 측정척도를 개발했다.  이 측정척도는 각 항목에 대해 '이것에 대해서는 완전히 자유롭다', '약간 자유롭다', '어느 쪽도 아니다', '약간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꼭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등의 다섯 단계 척도상에 답하도록 되어 있다. 이 연구는 스포츠 집단의 특성인 경기종목과 학교 요인을 고려하여 이들 요인에 의한 규범의 엄격함의 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밝혔다. 먼저 태도 규범, 생활규범, 상하서열규범 등은 대인 스포츠이며 격기 종목인 검도부의 규범이 엄격하고, 가장 엄격한 봉사 규범은 단체경기종목의 집단에서 가지고 있으며, 개인 경기 종목의 스포츠 집단은 가장 엄격하지 않은 규범들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태도 규범과 봉사 규범은 대학 스포츠 집단이, 업적 규범은 고등학교 스포츠 집단이, 상하서열규범은 중학교 스포츠 집단이 가장 엄격한 규범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집단이 가지고 있는 상황과 성원의 특성에 따라 규범이 강도가 달라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고등학교 스포츠 집단에 업적 규범이 가장 엄격하게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이 시기의 스포츠 집단 성원은 대학 입학을 목표로 하고 있고, 상하 서열 규범이 중학교 스포츠 집단에 가장 엄하게 형성된 이유로는 상급생과 하급생 간의 신체적 발달 수준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운동기능의 차이도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스포츠 집단의 예

 

 한편, 스포츠집단의 업적 규범이 시즌에 따라 그 엄격함의 정도가 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학교 스포츠 집단을 대상으로 시즌 중과 시즌 후의 업적 규범의 정도를 측정하고 비교한 결과 시즌 중에 엄격한 업적 규범을 가지고 있는 집단은 시즌 후에도 그 엄격함의 정도가 더욱 약해지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이러한 시즌에 따른 규범의 변화는 다른 종류의 규범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스포츠집단규범과 다른 집단 역동적 요인과의 관련을 검토한 연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는데, 김명수와 Sugiyama(1992)는 스포츠 집단의 업적 규범이 엄격할수록 응집성도 높아짐을 밝힌 바가 있고 김명수(1995)는 업적 규범이 강한 스포츠 집단일수록 과제 수행에 대한 결과도 좋다는 사실을 밝혔다. 김명수(1992)는 스포츠 팀의 리더(주장)의 타입이 업적 규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집단의 과제 지향적인 성향과 팀의 융화를 중요시하는 성향이 모두 강한 리더가 있는 집단의 업적 규범이 엄격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한편, 운동부 집단 규범과 코치의 세력기반의 관계에서는 코치의 전문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업적 규범이 엄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코치에 의한 벌의 정도가 클수록 태도 규범, 상하 서열 규범, 봉사 규범 등이 엄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코치에 의해 스포츠 집단 규범의 엄격함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스포츠 집단 성원의 심리적 특성과 규범의 인지 간의 관계를 밝힌 연구에서는 집단 성원의 성격요인 중에서 자기 모니터링 경향이 높은 사람은 실제로 자기가 소속한 집단이 가지고 있는 업적 규범보다 더 엄격한 엄적 규범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구성원들은 집단에서 정해진 목표를 향해 과제를 수행하는 과제 지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주위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성격적 특성을 가진 사람일수록 업적 규범을 엄하게 인지한다. 그리고 Kim과 Kim(1997)은 리턴포텐셜 모델을 이용해서 학교 운동부 집단의 결석과 연습에의 집합시간에 관한 규범의 구조 특성을 밝히고, 규범인지에는 각 성원의 지위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했다. 그 결과, 결석에 관한 학교 운동부의 규범은 상당히 엄격하며, 이 규범이 엄격한 집단일수록 연습시간에의 집합시간에 관한 규범도 엄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지위가 높은 성원 상급생일수록 엄격한 규범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타 성원들에 의해 인지되고 있는 사실도 밝혀졌다. 운동부 집단 규범의 역동을 밝히는 일은 스포츠 집단(혹은 운동부)의 운영이나 지도 등의 교육적인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나, 이에 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 거의 이루어져있지 않다. 이는 김명수(1992)의 연구에서 나타난 운동부 집단의 태도 규범, 생활규범, 상하 서열 규범, 봉사 규범 등은 서구의 스포츠 집단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독특한 것이며, 업적 규범은 서구의 스포츠 집단에도 존재하지만 측정척도의 부재에 기인한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은 집단에서의 규범 자체의 역동, 규범과 성원과의 관계, 혹은 규범과 다른 그룹 역동적 요인과의 관계 등은 단순 관계를 밝히는데 그치고 있으며, 단편적인 부분에 머물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