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심리학

동기이론 - 2. 내적동기이론

by 간다잉 2021. 12. 28.

1. 내적동기의 개념과 중요성

 심리학자들은 특정 활동에 대한 개인의 내적 흥미는 개인이 어떤 외적 목표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활동에 참여하도록 강요될 때 감소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포츠는 단순한 인간활동의 장이기 때문에 스포츠활동에서 내적동기에 관한 연구들은 스포츠심리학의 주된 관심의 영역이 되고 있다.

 내적동기에 관한 연구는 인간행동의 동기과정을 중요시하는 학자들에 의해 내적동기와 외적 동기를 구별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는데, 학자들 사이에 견해차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 두 개념은 행동상의 특징에 의하여 구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내적으로 동기화된 행동은 보상의 획득이나 처벌의 회피와 같이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인간은 외적 자극에 대하여 단순히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존재가 아니라 내적 과정을 통해서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내적동기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내적동기를 중시하는 견해는 외적인 보상이나 제약으로 인간을 동기화시키는 외적동기에 대한 비판을 근거로 부각되었다. 

 

 2. 내적동기의 연구

 내적동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내적동기를 결정짓는 요인에 관한 여러 이론들이 제시되었다. 내적동기를 결정짓거나 강화시키는데 있어서 자신이 행동의 원인이라는 경험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Deci(1975)는 내저동기에 대한 인지적 평가이론에서 인간의 기본 욕구를 자결성과 유능성의 욕구라고 전제하고, 내적으로 동기화된 행동이란 자결성과 유능성의 욕구에 의해서 동기화된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Deci(1980)는 내적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두 개의 하위과정으로 구분하였는데, 첫번째 과정은 내적 원인으로부터 외적 원인으로 지각되는 인과성 소재의 변화를 통한 자결성의 감정 변화로서, 어떤 활동이 자신의 선택에 의하여 이루어졌다는 느낌이나 자각이 없으면 개인의 내적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두번째 과정은 내적동기가 과제수행에 대한 유능성의 지각과 밀접히 관련된다는 것으로 어떤 활동을 통하여 자신이 유능하다고 지각하지 못하게 되면 그 활동에 대한 내적동기는 저하된다고 하였다. 즉, 유능성에 대한 감정이 감소하면 내적동기는 저하된다는 것이다. 

 또한 내적으로 동기화된 활동에 대해 외적인 보상이나 제약이 주어지면 그 활동에 대한 내적동기는 오히려 저하된다는 현상이 밝혀졌다. 이러한 현상을 Lepper와 Green 그리고 Nisbett(1973)는 Bem(1972)의 자기지각이론을 적용하여 원래 동기가 높았던 활동도 외부에서 주어지는 보상이나 제약이 뚜렷한 상황에서는 그 활동의 원인을 추론하는 과정에서 외적인 보상이나 내적 원인이 감소됨으로써 내적동기가 저하된다는 것이다. 환언하면 어떤 사람을 일정한 목표에 도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매우 흥미 있는 활동에 참여시키면 그는 자신의 행위 그 활동 자체에 대한 내적 흥미보다는 상황의 외적 연계성에 의해 동기화 되었다고 추론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Staw(1976)도 외적 보상이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하는 포괄적인 모형을 제시하면서 자기지각이론의 예측에 따라 내적 보상과 외적 보상이 모두 과정당화되는 조건에서는 행동의 원인이 내적인 것에서부터 외적인 것으로 이동하여 내적동기가 저하된다고 보샀다. 이것이 과정당화 가설로 일의 보상을 기대했다가 추후에 보상이 제공되지 않으면 그 활동에 대한 내적 흥미가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기지각이론에 입각한 연구들 외에 많은 이론들이 내적동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되었는데, Kruglanski(1975)는 외적 보상에 대한 귀인이론적 분석에서 내·외 귀인의 개념이 문제점을 지니고 잇다고 보고, 이에 대치시킬 내생적, 외생적 귀인의 개념을 제안하였으며, Reiss와 Sushinsky(1975, 1976)는 Lepper(1973) 등에 의해 주장된 과정당화이론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서 반응경쟁가설을 제시하였다. 

 지금가지 연구를 통해서 내적동기의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진 것으로는 수행 수준에 따라 주어지는 보상, 단순히 참여하는 것에 대한 보상, 보상의 현저성, 처벌의 위협, 감독, 과제수행에서 타인에 의해 설정된 마감시간, 외부로부터의 평가 및 경쟁상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인들을 개관해 보면 다양한 종류의 외적 보상이나 제약으로 인한 자결성의 상실이 내적동기가 저하되는 중요한 원인임을 알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