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심리학

스포츠에서의 리더십 연구

by 간다잉 2022. 7. 24.

1. Chelladurai와 Saleh(1980)

 지도자의 행동유형을 훈련과 지도 행동, 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사회적 지지, 보상 행동으로 분류하였다. 훈련과 지도 행동은 운동선수의 수행을 향상하기 위해 훈련하고 지도하는 행동을 말한다. 게임의 전술과 전략, 연습방법, 집단 목표의 의사결정에 선수의 참여를 적극 권장하는 민주적 행동과 반대로 선수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코치의 권위를 강조하며 혼자서 모든 의사를 결정하는 권위적 행동이 있다. 그리고 팀의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선수들의 개인적인 요구를 해결해 주는 사회적 지지 유형, 선수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운동 수행에 관해 칭찬을 해 주는 등의 보상 행동이 있다. 

 

2. Lipman-Blumen(1996)
 삶의 모든 단면을 통합하려는 인식과 그런 의도로 통합적 리더십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통합적 리더십은 대규모 네트워크를 통해 일을 수행하고, 선수들을 새롭고 덜 권위적인 방법으로 이끌며, 다른 목적을 가진 지도자라도 협력해서 일을 잘 한다. 또한 자신의 비전을 설명하기 위해 극적인 행동아 상징을 사용할 줄 알며, 권력과 경쟁심을 적절히 활용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신의 이익보다는 여러 사람들의 이익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통합적 리더십은 자기 지향적 리더십과 관계지향적 리더십 그리고 도구 지향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1) 자기지향적 리더십

 자기지향적자기 지향적 리더십은 모든 수행을 자신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유형이다. 자기 지향적 리더십의 소유자는 어떤 일이 주어졌을 때, 자기 스스로 할 수 있다고 믿고 과업이나 상황에 정면 대응을 한다. 자아비판적인 태도로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 실행과 완벽함에 관심을 가진다. 개인주의와 독립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자기 지향적 리더십에는 실력형, 경쟁형, 권력형이 있다. 실력형은 과제에 대해 자기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믿음을 가지므로, 자신에게 엄격한 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경쟁형은 다른 사람을 능가해야 하는 유형이며, 권력형은 사람들에게 과업을 분배해주며, 그들을 통제하기를 좋아하는 형태를 말한다.

 

 

 

 

2) 관계지향적 리더십

 자기지향적 리더십과는 달리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리더십의 형태이다. 자기 자신보다는 다른 사람이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에서 보람을 찾는다. 관계지향적 리더십에는 협력형, 헌신형, 성원형이 있다. 협력형은 팀을 구성해서 서로 협력해가며 일하는 것으로 영광도 함께, 실패도 함께 하는 것을 말한다. 헌신형은 말 그디로 다른 사람의 일을 도와주면서 만족을 찾는 유형이다. 그리고 성원형은 주위의 사람들이 성공할 수 있게 조언과 용기를 북돋워 준다.

 

3) 도구지향적 리더십

 미래지향적인 리더십으로 목적 달성을 위해 주위의 환경을 도구로 이용한다. 즉, 자기 자신을 활용하거나, 타인과의 관계, 상황 그리고 자원 등을 도구로 이용한다. 도구 지향적 리더십에는 자신이 가진 자원을 모두 활용하여 다른 사람들 자신에게 끌어들이는 설득형과 일을 맡았을 때, 그 일에; 적합한 사람을 먼저 찾아내는 사교형 그리고 리더로부터 위임을 받아 자부심을 가지고 일을 수행하며 충성심을 발휘하는 위임형이 있다.

 

3. 박정근(2001)

 박정근(2001)은 훌륭한 코치가 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자질을 태도 및 철학, 전문성, 선수육성능력, 지도방법, 선수 관리, 심리적 전략, 경험, 기타 등으로 분류하였다.

 - 태도 및 철학: 좋은 코치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자기가 하는 종목에 대한 강한 애착이 있어야 하며, 그 다음에 선수들에 대한 애착이 있어야 한다. 그리하여 성실성과 노력, 선수에 대한 사랑, 솔선수범 및 모범, 신뢰, 운동에 대한 애착, 책임감 등 6개 범주로 구성하였다.

- 전문성: 선수 생활을 오래 했을지라도 코치가 되기 위해서는 연구하는 자세로 자신이 운동을 했을 때 보다 나은 환경에서 운동을 할 수 있게 과학적인 데이터를 가지고 선수들에게 신뢰받는 코치가 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전문성을 공부하는 자세, 실기와 이론을 겸비, 자기 계발의 3개의 범주들로 구성하였다.

- 선수육성능력: 코치는 운동능력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좋은 선수들을 발굴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분석능력과 발굴 능력이 뛰어나야 한다. 그리하여 선수 개인에 맞는 코칭법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 지도방법: 코치는 단조로움을일으키는 방법으로 가르치지 말고 다양한 훈련 방법으로 지도해야 한다. 그리고 선수들에게 무리하게 많은 것을 요구해서는 안되고, 인내를 가지고 지켜보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또한 실기와 이론을 겸비해서 가르치며, 성실함을 강조하며,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

- 선수관리: 선수들의 성적 변화를 살펴보면, 그들의 인간관계에 무제가 있는 경우가 있다. 팀 내 선수들 간의 갈등, 지도자와의 갈등이 있을 때, 코치는 이들의 관계를 잘 융화시켜야 한다.

- 심리적 전략: 코치는 선수들의 능력발휘를 위해 심리적인 전략을 사용하는데, 칭찬을 통해 자신감을 갖게 할 수 있으며, 많은 대화를 통해 심리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 경험: 코치는 선수 생활에서의 경험도 중요하지만, 실제 코치 생활에서 겪는 경험도 중요하다. 눈앞의 이익에 안주하지 않고 넓은 시야를 가지고 선수들을 지도해야 한다.

- 기타: 코치는 중요한 순간에 승부사적 기질과 위기관리 능력이 뛰어나야 하며, 공과사의 구분이 명확해야 한다. 

 

댓글